애드센스를 신청하고 애드센스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구글 서치 콘솔에서 소유권 확인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소유권 확인"이 되지 않으면 애드센스 신청, 애드센스 수익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오게 됩니다. 이번 글을 읽고 차분히 따라 하시기만 하면 소유권 확인 문제를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사이트 소유권 확인, 해결 되지 않으면?
티스토리 사이트 소유권 확인이 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먼저 구글 애드센스에 사이트 추가를 할 수 없습니다. 스킨 변경 등으로 기존의 메타 태그가 지워졌다면,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청구할 수 없을 것이고요.
만약 이런 과정이 없다면 유명 사이트를 너도 나도 본인이 운영하고 있다고 거짓으로 신고하여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얻겠죠?
사이트 소유권 확인은 본인이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라는 것을 구글 서치 콘솔에서 부여한 "고유 번호"로 확인하는 과정인 것입니다. 마치 개인당 주민등록 번호가 하나씩 부여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티스토리 사이트 소유권 확인 해결 방법
1.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등록하기
우선 티스토리 URL을 등록해줍니다.
등록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좌측 상단 구글 서치콘솔 로고 아래 타원 테두리를 누릅니다.
속성 추가를 눌러 우측 URL 접두어 부분에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하고 계속을 누릅니다.
소유권 확인 창이 뜨는 경우, 아래의 다른 확인 방법에서 HTML 태그/ 사이트 홈페이지에 메타태그 추가 버튼을 눌러 본인의 태그를 복사합니다. 이는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민감하고 중요한 정보로 외부에 알려지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메타 태그는 아래와 같은 형식을 하고 있습니다.
<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
저처럼 이미 다른 사이트를 등록하여 "소유권이 자동으로 확인됨" 안내 문구가 뜨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이 본인의 메타 태그를 확인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페이지 좌측 최하단 설정 버튼 클릭
일반 설정에서 사용자 및 권한 클릭
사용자에서 점 3개 버튼 클릭
소유권 인증 세부정보 눌러서 HTML 태그 복사
이때도 마찬가지로 HTML 태그는 아래와 같은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
<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
2. 메타 태그 등록하기
메타 태그 등록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편한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2-1. 스킨 편집 > HTML수정을 통해 등록하기
티스토리 관리에 들어가서 스킨 편집을 누릅니다.
우측 상단에 보이는 HTML 편집 버튼을 눌러 <head>..... </ head> 사이에 복사한 메타 태그를 붙여 넣습니다.
다음에 찾기 쉽도록 위와 같이 입력하면 좋습니다.
2-2. 티스토리 플러그인 활용하여 등록하기
블로그 설정 화면에서 플러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메타 태그 등록"을 클릭합니다.
아까 복사했던 메타 태그에서 <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 /> google-site-verification를 두 번째 칸에 넣어주고, content= 이하 "" 안에 있는 문자를 입력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3. 구글 서치콘솔로 돌아와 소유권 확인 창에서 "확인"버튼을 누르기
소유권 확인 창이 뜨셨던 분들은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되시고요.
아까 저와 같은 창을 보셨던 분들은 아래와 같이 나온다면 잘 되신 겁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앞으로도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